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treamlit
- pandas
- matplotlib
- 체스
- python
- internship
- nltk
- minimax
- 씨본
- 미니맥스
- 파이썬
- seaborn
- 코로나 사망자
- tictactoe
- Project
- 틱택토
- 인턴쉽
- 시본
- AI Developer
- 코로나 확진자
- Machine Learning
- plotly
- Vendor
- EDA
- 스타트업
- 캐글
- resume
- 코로나
- 인공지능
- React
- Today
- Total
목록python (2)
대학생 경복궁

주로 사람들은 자유는 무조건 좋은 것 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산다. 하지만 막상 방학을 하던가 백수가 되어 긴 기간동안 자유를 누리다 보면 공허함을 느끼기도 하고 막상 놀고 먹고 하기보다는 자유에 책임감을 느끼기 시작한다.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를 읽던중 "자유는 견디기 어려운 고독과 통렬한 책임을 동반한다"는 문구가 정말로 나에게 와다았다 그래서 이것을 캐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말로 자유와 행복의 관계를 보도록 해보겠다. https://www.kaggle.com/unsdsn/world-happiness World Happiness Report Happiness scored according to economic production, social support, etc. www...

Idea 일상생활 속에서 코로나 관련 사망자수와 확진자수를 보던중 한가지 인사이트가 머리속을 스쳤습니다. "확진자 대비 사망자수가 적을수록 그 나라가 코로나 확진자에 대한 대처를 잘한다" 솔직히 어느 통계학적 근거도 없다. 다른 변수가 있을수도 있지만 이 인사이트는 직관적으로 봤을때 말이 된다. 그래서 이 인사이트를 근거로 한국의 코로나 확진자에 대한 대처를 잘하고 있는지 확인을 해보자. 데이터 출처 www.kaggle.com/sudalairajkumar/novel-corona-virus-2019-dataset Code Prepare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seaborn as sns import pandas as pd sns.set_style("whiteg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