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ltk
- matplotlib
- 캐글
- 코로나 사망자
- Machine Learning
- 씨본
- resume
- 파이썬
- React
- 코로나
- seaborn
- minimax
- internship
- streamlit
- 시본
- 스타트업
- python
- 미니맥스
- 체스
- Vendor
- plotly
- 코로나 확진자
- 틱택토
- pandas
- Project
- EDA
- tictactoe
- AI Developer
- 인공지능
- 인턴쉽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
대학생 경복궁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 Resume가 너무 비어있어서 조금 채워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간단하게 만들어본 프로젝트이다. 다른 학생들도 참고하여 도움을 받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여 공유한다. 내용 나는 모든 프로젝트는 목표를 가지고 만들어야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도 머신러닝을 처음 배우는 사람이 알고리즘과 하이퍼 파라미터가 결과 예측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시각적으로 쉽게 볼 수 있게 도와줘야 겠다 라고 생각하며 시작했다. 사용기술 sklearn, streamlit, plotly github https://github.com/bok-bok/ML_playground GitHub - bok-bok/ML_playground Contribute to bok-bok/ML_playground deve..
왜 인턴을 지원하게 되었나? 가장 솔직히 말하자면 커리어 관점으로 보았을때 저 학년부터 인턴 경험을 하면 졸업반이 되었을때 Resume가 든든해 지기때문이다. 하지만 이것 말고도 정말 다양한 이유가 있었다. 대학교의 엄청나게 자유로운 커리큘럼은 새로운 학기마다 나를 고민하게 만들었다. 나는 어떤 길을 가야할까? 내가 app development를 즐길 수 있을까? 나는 AI 쪽을 좋아한다고 생각하지만 과연 현업에가서도 내가 재미있게 일할 수 있을까? 내가 그냥 환상을 가지고 있는 건 아닐까? 등등. 나는 목표는 결국 현업에서 나의 기술을 써먹는 것이기 때문에 현업에서 일을 경험해 보지 않는 이상 나의 생각은 결국 상상에 불구하다는 걸 뼈져리게 느꼈다. 그리고 인턴 경험을 하고 하는 3학년과 안하고 하는 ..

들어가며 어느 날 유튜브를 보다가 유튜버들을 위한 서비스가 있으면 참 좋겠다고 생각했다. 유튜브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콘텐츠의 방향을 잡는가? 댓글의 반응을 보고 자신이 영상을 잘 찍었는지 무엇이 부족했는지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댓글을 감성분석하면 유튜버들이 영상을 구상하고 만드는데 좋은 피드백이 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시작한 프로젝트다. 사용기술 pandas, nltk, plotly, streamlit 내용 이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 할때는 새로 배워야 하는 기술이 많아서 코드의 양에 비해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일단 유튜브 댓글을 가져오기 위해 youtube api가 어떻게 돌아가고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들어보기만 한 감성분석을 알아보고 plotl..

개발환경 : codesandbox.io 언어 : react 알고리즘 : minimax 최근 딥러닝 공부를 꾸준히 하던중 딥러닝을 활용해 게임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게임에서 딥러닝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아 결국 미니맥스를 활용하여 인공지능을 만들었다. 깃허브 https://github.com/bok-bok/Chess-AI 인공지능 체스 https://codesandbox.io/s/chess-new-ughlm?file=/src/board/Board.js chess-new - CodeSandbox chess-new by Kyungbok Lee using react, react-dom, react-scripts codesandbox.io 개발 환경은 codesandbox.i..

주로 사람들은 자유는 무조건 좋은 것 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산다. 하지만 막상 방학을 하던가 백수가 되어 긴 기간동안 자유를 누리다 보면 공허함을 느끼기도 하고 막상 놀고 먹고 하기보다는 자유에 책임감을 느끼기 시작한다.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를 읽던중 "자유는 견디기 어려운 고독과 통렬한 책임을 동반한다"는 문구가 정말로 나에게 와다았다 그래서 이것을 캐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말로 자유와 행복의 관계를 보도록 해보겠다. https://www.kaggle.com/unsdsn/world-happiness World Happiness Report Happiness scored according to economic production, social support, etc. www...

Idea 일상생활 속에서 코로나 관련 사망자수와 확진자수를 보던중 한가지 인사이트가 머리속을 스쳤습니다. "확진자 대비 사망자수가 적을수록 그 나라가 코로나 확진자에 대한 대처를 잘한다" 솔직히 어느 통계학적 근거도 없다. 다른 변수가 있을수도 있지만 이 인사이트는 직관적으로 봤을때 말이 된다. 그래서 이 인사이트를 근거로 한국의 코로나 확진자에 대한 대처를 잘하고 있는지 확인을 해보자. 데이터 출처 www.kaggle.com/sudalairajkumar/novel-corona-virus-2019-dataset Code Prepare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seaborn as sns import pandas as pd sns.set_style("whitegr..